http://cucumber.io/docs/ Introduction | CucumberCucumber is a tool that supports Behaviour-Driven Development (BDD).cucumber.io BDD (행동 주도 개발, Behavior Driven Development) 를 지원하는 테스트 프레임워크이다.Gherkin 문법을 사용해서 테스트 시나리오를 작성한다. 시나리오는 Given, When, Then으로 구성되어있다.Feature: 로그인 기능 Scenario: 올바른 자격 증명으로 로그인 성공 Given 사용자가 로그인 페이지에 접속했을 때 When 올바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Then 메인 페이지로 이동한다 이러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
팀 인프라를 배워가면서 이해하기 어려운 툴이 많이 등장한다. 어떤 역할을 하는 툴인지 짚고 넘어가자. Kubernetes Pod는 여러 컨테이너의 집합이다. Pod는 하나의 IP 주소를 가지고 모든 컨테이너는 Pod 내부에 위치한다.하나의 Pod 내부에 있는 컨테이너는 메모리를 공유한다.이미지에 Worker Node라고 표시되어있는 Node는 여러 Pod를 관리하고 실행한다.Control plane은 사용자와 여러 Node를 연걸하기 위한 대시보드이다. 이 모든 요소들을 하나의 단위로 합친 것이 Cluster이다. Terraform인프라를 코드로 관리하기 위한 도구이다.AWS 와 같이 복잡한 자원을 코드로 관리할 수 있다. TerragruntTerraform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도구이다. 여러 애..
배운 것 ERB (Embedded Ruby)를 사용할 때는 GPT를 적극 활용할 것 🥺 ERB 코드 작성하는 거 너무 어렵다신고 항목에 대해 우선순위가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 테이블을 하나하나 톺아보며 신고 도메인이 대한 데이터 흐름을 처음으로 파악해보았다. 느낀 것처음으로 외부 서비스 관리자와 커뮤니케이션 해봤다! 비개발자와 개발 용어 안쓰고 소통하기 완료 🤓내가 스스로 이해해야하는 분야와 그렇지 않은 분야에 대해 잘 나누어보고, 그렇지 않다면 적극적으로 물어보는 태도를 가지자.
배운 것Orbstack 이란?Docker desktop을 대체하여 낮은 CPU와 메모리 사용량을 장점으로 가지는 플랫폼이다.Docker CLI로 컨테이너를 관리할 수 있다.Open AI documentationEach message can have a different role, which influences how the model might interpret the input.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과정에서 사용하는 role은 메시지의 성격을 의미한다.user role 메시지는 end user가 chatgpt 에게 보내는 상황처럼 특정 응답에 대한 요청을 한다. 사용자가 해결하려는 문제를 모델에 전달한다.system role 메시지는 어떻게 응답을 생성하고 반응할 지 결정한다. (말투, 글자 길이 등) ..
배운 점 zsh와 bash유저와 OS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로 쉘 언어를 사용한다.운영체제마다 쉘 언어를 다르게 사용한다. 리눅스나 맥은 bash 쉘 언어를 사용한다.bash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 #!/bin/bash, zsh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 #!/bin/zsh를 파일 상단에 입력한다.foreman반복적인 작업을 줄이고 빠르게 배포하기 위한 오픈 소스이다.Procfile 에 정의된 태스크를 읽고 자동으로 실행한다.서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외울 필요 없이 Procfile에 정의하고 foreman start 를 입력하면 자동 실행된다. 느낀 점다른 사람의 눈에 잘 보여야 한다는 생각 버리고 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에 집중하기우선순위를 정해서 중요한 것부터 빠르게 처리하기. 다만 조급해지지 말고 ..
2023.12.30 - [Other/기록] - [회고] 봄날은 온다, 2023년 하반기 회고 😎 [회고] 봄날은 온다, 2023년 하반기 회고 😎2023.06.30 - [Other/기록] - [회고] 2023년 상반기 회고 👶 그리고 하반기 목표 [회고] 2023년 상반기 회고 👶 그리고 하반기 목표 부끄럽지만 .. 2023년 상반기를 마무리하며 처음으로 회고 글을 작성해mingyum119.tistory.com 작년의 나를 보니 정말 열심히 살았다는 생각이 든다. 💪 우아한테크코스라는 새로운 환경에 대한 기대감과 걱정으로 한 해를 마무리했던 기억이 있다. 과거에 작성했던 상반기 목표를 점검해보자. 대외활동은 야심차게 도전했으나 도저히 우테코와 병행하지 못하고 두 달차에 그만두게 되었다. 서울 ..
2023.06.30 - [Other/기록] - [회고] 2023년 상반기 회고 👶 그리고 하반기 목표 [회고] 2023년 상반기 회고 👶 그리고 하반기 목표 부끄럽지만 .. 2023년 상반기를 마무리하며 처음으로 회고 글을 작성해보려고 한다. 2023 상반기를 짧게 정리하자면, 흘러가는 대로 살던 내가 마음을 고쳐먹고 크게 성장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mingyum119.tistory.com 2023년 6월 30일에 작성한 상반기 회고에서 하반기의 목표를 언급했었다. 어느새 시간이 훌쩍 지나 12월 30일이다 😮 딱 6개월이 지나고 많은 게 달라진 지금이다. 상반기 회고를 작성할 때면 내가 많이 부족하다는 생각에 힘들어했던 것 같은데, 그래도 나름의 결과물을 내고 이것저것 나만의 스토리를 만들어 온 덕..
해당 게시글은 DND의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과 포스트모템" 세미나를 듣고 발표 자료를 일부 캡쳐하여 정리한 게시글입니다. 프로젝트란 ? 제한 시간에 한정된 자원으로 목표하는 일을 완수해야 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목표한 일을 확실히 정의한 문서를 기획서라고 한다.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1) 애자일 고객, 시장의 반응을 보며 서비스를 점진적으로 보완하는 방식의 프로젝트 관리론이다. 디자인 씽킹, 그로스 해킹, 린 스타트업, 스프린트, 스크럼 등과 연관이 있다. 즉, 불확실한 제품을 내면서 피드백을 통해 좋은 점은 발전시키고, 나쁜 점은 버리는 결과 중심적인 방법이다. 또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받으면서 서비스를 개선한다는 점에서 고객 중심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이런 사이클을 빠르게 여러 번 돌림으로써 출..
안녕하세요 ! 오랜만에 좋은 소식이 생겨 후기 글을 들고 와 보았습니다. 바로 IT 연합 동아리 DND에 합격한 것인데요, 복학 전에 참여할 수 있는 마지막 대외활동이라고 생각하여 간절한 마음으로 지원하였고, 운이 좋게도 500 명 정도의 지원자 중에서 최종 합격자로 선정이 되었습니다. DND는 프로젝트에 즐거움을, 모두에게 기회를이라는 슬로건에 맞게 운영되고 있어서, 지역이나 나이 등에 국한되지 않고 팀원을 모집하는 것 같았습니다. 저는 사이드 프로젝트를 운영진의 지도 체계 하에 8주 안에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 매력을 느꼈습니다. 저는 대학교 4학년 1학기 복학을 하반기에 앞두고 있었고, 복학 전에 개인 프로젝트로 개발 공부를 하려고 계획하던 중이었습니다. 그러나 DND를 통해 애자일, 데일리 스크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