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opentutorials.org/course/3161
DATABASE2 - MySQL - 생활코딩
수업소개 무료이면서, 오픈소스이고, 3대 데이터베이스 중에 하나인 MySQL의 입문 수업입니다. 수업대상 정보기술의 심장인 데이터베이스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궁금하신 분 데이터를 보다 전문적으로 관리하고 싶은 분 웹, 앱, 게임, 데이터분석 엔지니어가 되고자 하는 분 참여조건 데이터베이스가 처음인 분들은 DATABASE1 수업을 먼저 볼 것을 권해드립니다. https://opentutorials.org/course/3162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경험이 이미 있다면 이 수업부터 학습을 시작하시면 됩니다. 아래는 관련된 지식의 지도입니...
opentutorials.org
다음으로는 DATABASE- MySQL 수업 내용 요약정리이다.
- 데이터베이스의 목적
초기에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file이라는 개념을 만들었는데, 정보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짐으로써 이를 관리하기 위한 개념으로 데이터 베이스를 만들었다.
-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
정보들의 집합을 데이터 베이스라고 하고, 데이트 베이스의 집합을 데이터베이스 서버라고 한다.
- MYSQL 서버접속
(Windows 기준) Bitnami를 설치한 후 cmd 창에서 C:\Bitnami\wampstack-7.4.7-0\mysql\bin 디렉토리를 설정, 이 디렉토리 내에서 mysql -uroot -p 를 입력해주면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MYSQL 서버 접속이 가능하다.
- 스키마의 사용
스키마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조건에 대한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것을 의미한다.
cmd 창에서 다음 코드를 통해 opentutorials 라는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 SQL과 테이블의 구조 및 생성
SQL 은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약자이다.
table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이 표를 SQL에서 생성하는 작업을 해보자.
구글링을 통해 표를 생성하는 코드를 알아 보았다.
이 코드에 기초하여
이 표를 생성해보자.
이렇게 opentutorials 데이터베이스로 이동한 다음, topic이라는 이름의 table을 만들어 주었다.
- INSERT
방금 위에서
다음과 같은 형태의 table을 만들어 주었다.
이제 이 만들어진 표 안에 데이터를 넣어보자.
코드는 다음과 같다. insert into 표이름(열 이름, 데이터 내용) 의 형식을 지켜 작성한다.
이렇게 코드를 작성하면 표에 한 행이 추가가 된다.
이렇게!
두번째 행을 추가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SELECT
select 열 이름 from 표 이름;
코드를 통해 필요한 열만 불러서 출력할 수 있다.
-UPDATE
표를 update하기 위한 코드의 기본 형식은 다음과 같다.
이렇게 두번째 행의 ORCALE의 타이틀과 description을 update 코드에 맞추어 작성하여 바꿔줄 수 있다.
여기서 WHERE id =2 이 부분이 빠지게 되면 모든 행이 초기화되기 때문에 꼭 신경써서 작성해주어야 한다.
-DELETE
이것은 표의 데이터를 delete하는 코드 양식이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WHERE id =2 부분을 빼먹으면 표의 모든 행이 사라진다.